[원자재] 알래스카 LNG 이익? 손해?
- financecareerbible
- 5월 2일
- 4분 분량
*본 내용은 기본 프로젝트에서 수행하는 내용에서 발췌했습니다.
📌 미국이 알래스카 LNG를 압박하는 배경
1) 미국 LNG 수출 현황
미국의 LNG 수출은 텍사스, 루이지애나를 중심으로 집중
2012년부터 셰일오일에서 나오는 파생되는 잔여가스*를 처리하기 위해서 LNG 수출터미널을 거쳐 수출하는 것이 대안으로 부상 *미국 내수에서는 천연가스를 사용할 수요처가 공급량 대비 턱없이 부족하기 공중에 태우는 중
출처: RBN Energy(2025.1) 이미 진행하고 있는 미국 남부의 LNG 수출 터미널은 수출에 충분한 수준
그 이상으로 수출 터미널 준공시, 내수 천연가스 공급을 부족하게 만들 여지 존재
가령, AI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를 처리하기 위해 LNG발전소를 대거 가동하고 있는데, 내수 부족분까지 수출하게 된다면, Henry Hub 등 내수 천연가스 가격을 상승시킬 여지가 있음
결과적으로, 내수 에너지 가격 상승은 물가 상승이라는 부작용을 낳기 때문에 내수와 동떨어진 알래스카에서 LNG 수출을 전략적으로 추진
출처: EIA
2) 알래스카 주지사까지 방한하여 LNG 계약을 서두르는 이유
미국의 하원, 상원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 우선
하원은 국내 이슈(예산안), 상원은 대외 이슈(국방, 외교)를 담당
총 의석 수는 하원 435석(임기 2년), 상원 100석(임기 6년)
하원은 인구비례로 의석이 배분되며, 알래스카는 1석 배정
상원은 인구와 무관하게 50개 주가 동일하게 각 2명의 상원의원 선출
정당에 따른 의석 수 현황
하원에서는 2022.3.까지 돈영(공화당)이 49년간 하원의원직 유지
메리 펠톨라가 2022. 보궐선거에 당선되어 50년 만에 알래스카 하원직 탈환
기간 | 상원의원 | 소속 |
2005~2009 | Ted Stevens Lisa Murkowski | 공화당 공화당 |
2009~2015 | Lisa Murkowski Mark Begich | 공화당 공화당 |
2015~현재 | Lisa Murkowski Dan Sullivan | 공화당 공화당 |
현재 트럼프 2기 정부에서는 하원 공화당(220석), 민주당(215석) / 상원 공화당(53석), 민주당(47석)
하원은 435석 중 218석 이상을 차지해야 과반 달성 가능 / 현재 공화당이 220석으로 매우 근소한 차이로 과반 유지 중
알래스카의 문제점
현재 알래스카 인구의 75%는 남부 앵커리지에서 거주
문제는 앵커리지 인근의 천연가스 매장량이 급격히 감소하는 중
이에 주민들은 천연가스 대비 상대적으로 비싼 LPG 등을 대체품으로 사용하는 중
결국, 물가를 잡는 것이 핵심인데, 50만명 밖에 안 되는 수요를 가지고 수십 조원에 달하는 천연가스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은 수지타산이 맞지 않음
출처: Alaska LNG
소결론
알래스카 상원을 잃게 되면 공화당(51석) vs 민주당(49석)으로 비슷해지며, 관세가 물가상승을 초래해 경제를 악화시킨다면, 상원에서 알래스카 포함 총 2석을 빼앗기는 최악의 사태 전개 가능
이에 북부에 있는 천연가스를 PNG 형식으로 남부 앵커리지까지 연결시키려고 추진
앵커리지 인근에서 LNG 수출 터미널을 만들어서 한국, 일본, 대만에게 LNG를 판매한다면 하원, 상원 모두 공화당이 지킬 수 있으며, 북극해 시대를 대비해 알래스카에 신식 도시를 형성하는 인프라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가능해짐
2026.11.3. 트럼프 2기 정부의 중간선거가 실시되는데, 선거 이전에 LNG 투자 확약을 받아내야 상하원에서 승리가 가능
그 때문에 알래스카 주지사가 직접 방문하여 계약을 서두르려고 하는 이유가 여기 있다고 봐도 무방
📌알래스카 LNG를 대하는 일본의 대미외교 전략
LNG 강국, '일본'
한국처럼 천연자원이 없다시피한 일본은 사실 숨겨진 에너지 강국
미쓰비시, 미쓰이 등 일본의 5대 상사가 전세계 각국의 광산을 대거 보유하고 있으며, 2011.3. 동일본 대지진 이후, 원전을 폐쇄하면서부터 본격적으로 LNG Trading에 대해 관심 갖기 시작
일본의 LNG 수입 변천사(History)
1969.11.4. 도쿄전력(현 JERA)과 도쿄가스가 알래스카에서 LNG를 요코하마 LNG 터미널(일 최초의 LNG 수입 (기화)터미널)에 최초로 수입
2023년, 중국에 추월 당하기 전까지 세계 1위 LNG 수입국
2011.3. 동일본 대지진 이후, 원전 가동 중단으로 LNG 수요가 급증하면서 Spot trading과 3국 판매를 본격적으로 시작
출처: JOGMEC
소식통에 따르면, 알래스카 LNG를 구매해주는 조건으로 액화터미널 공사를 요구할 것으로 파악
reference를 이미 쌓아놨기 때문에 동남아를 비롯한 전세계에서 LNG 터미널 공사를 수주할 가능성이 높아짐
이미 Chiyoda(6366), JGC(1963), JFE Engineering(5411) 같은 기업들이 LNG 플랜트 건설 분야에서 수혜를 누리는 중
출처: 구글파이낸스
📌 시나리오별 협상안
LNG 수입단가 | PNG | 액화터미널 공사참여여부 | FLNG | |
Worst | 12불 | 한국이 전담 | X | X |
Plan A (Normal) | 8불 | 미국이 전담 | X | X |
Plan B (Better) | 10불 | 미국이 전담 | O | X |
Plan C (Best) | 12불 | 미국이 전담 | O | O |
**Tip: 항상 투자 수익률을 분석을 위한 리서치 작업을 할 때는 시나리오별로 주요 변수와 결과치를 도표로 표현하는 작업이 수반되어야 합니다. 백마디 말보다 하나의 표, 차트가 더 눈에 잘 들어오니까요!
🧐 투자 아이디어 제시
1) 미국 현지 공장을 보유한 강관 제조사
알래스카 LNG 사업이 진척된다고 하면, 어떤 시나리오에서든 강관 사용은 필수 불가결
경기부양 특성상, 미국 내부에서 조달하려고 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미국 현지공장을 갖춘 강관사들을 집중 공략
세아제강(지주), 휴스틸, 넥스틸
2) 해양플랜트 제조사
BEP(손익분기점) 대비 50% 이상이나 비싼 12불에 수입한다면, 협상카드로서 FLNG 발주에 대한 확약을 받아내는 옵션도 고려
알래스카 PNG 특성상, 동물보호 라는 명목하에 지상이 아니라 지하에 묻어야 한다는 점과 환경단체들의 반대로 인한 공사지연 비용이 급증할 가능성 농후
이에 PNG는 미국 정부가 전담하고, 한국은 50% 비싸게 LNG를 장기계약해주는 대가로 공사지연을 대비하는 용도로 FLNG 발주를 통해 Two track으로 생산 전략 제안
결과적으로, 삼성중공업이 최선호주
2025.1.17. 미국의 OFAC이 Wison(Zhoushan Wison Offshore and Marine)을 블랙리스트에 등재함으로써, FLNG 제조에서 독점적 지위를 누리는중
3) (쇄빙) LNG선 제조사
알래스카 남부에 PNG를 연결해서 LNG를 수출한다면, LNG선을 제조하는 국내 3사 수혜
알래스카 북부 유전에서 FLNG를 도입해 수출한다면, 쇄빙 LNG선 제조가 가능한 삼성중공업, 한화오션이 수혜
러시아 쇄빙선 제작경험이 있는 삼성중공업(Arc7급 쇄빙 LNG선 건조 경험 O)
한화오션(구 대우조선해양)은 세계 최초 쇄빙 LNG 운반선 건조 경험 O
러시아 쇄빙선의 건조비용이 척당 5,000억원(3.5억 불)이었다는 점 고려시, 기존 LNG 운반선 대비 50~80% 비싼 선박
4) 액화 터미널 건설사
액화 수출 터미널 같은 초고난이도 공정은 안전성을 위한 reference 건조 경험이 매우 중요
이에 정유, 석유화학 플랜트 준공 경험이 있는 대우건설, DL이앤씨, 삼성E&A, 현대엔지니어링(현대건설의 자회사)이 수주를 받을 가능성 농후
특히, 국내 시총 1위 현대건설의 1Q25 컨퍼런스 콜에서 국내 주택 건설보다는 데이터센터, 원전 등 EPC, 해외건설의 매출 비중을 확대하겠다는 전략과 부합
하위 밸류체인 상에서 플랜트 설비 제작을 위한 피팅류 등의 기자재를 납품하는 회사를 주목해야 하며, 국내 기업 중에서 치요다화공(6366)에 육상, 해상 플랜트 기자재를 납품한 기업 존재
** 참고자료:
Alaska LNG: https://alaska-lng.com/
** Tip:
수 십조원 이상의 프로젝트는 밸류체인이 워낙 방대하기 때문에 반드시 주목해야 합니다.
Top down research를 한다고 해서 거창한 것이 아니라, 누구나 다 인지하고 있는 사건에서 파생되는 결과를 시나리오별로 예상해서 하방은 막혀있고, 상방은 열려있는 꽃놀이패 형태의 투자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증권사 리서치센터, 운용사 펀드매니저 공통적으로 Stock Pitch를 할 때, 위와 같은 논리로 제시하는 것이 국룰입니다.
*본 게시물은 특정 금융 상품에 대한 투자 권유나 추천이 아닙니다. 제공되는 모든 정보는 단순 취준생들의 학습을 위한 참고용이며, 투자에 대한 최종 결정과 책임은 전적으로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 하나의 사건을 가지고, 다양한 투자 아이디어를 파생시킬 수 있는 역량을 길러, 단기간 내 인턴, 신입 직군에 합격하고 싶다면?
✅매크로(거시경제) 지표 분석을 제대로 배워 현직 수준의 포트폴리오로 서류, 면접을 뚫고 싶다면??
✅부족한 경험을 실무 중심의 프로젝트 경험으로 이력서에 기입하여 서류, 면접에 합격하고 싶다면??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