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트럼프의 관세부과의 목적과 예상되는 결과는?

최종 수정일: 4월 14일


📌 관세부과 현황: 

상호관세 부과가 현실화되고, 중국의 보복관세(희토류 수입통제, 미국 농산물 수입관세 등) 소식이 나오며, S&P 500(-5.97%), Nasdaq(-5.82%), Dow Johns(-5.50%), 러셀 2000(-4.37%) 역사적인 하락폭 경신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세를 더욱 부과할 것이라고 발표했으며, 이에 베트남은 미국산 제품에 0% 관세 부과하거나 관세를 대폭 하향조정하는 방식으로 협상 중


📌 관세의 목적: 

관세 부과 자체보다는 관세 완화를 조건을 협상을 하기 위한 것이 주요 목적


📌 미국측 관세 완화 협상조건: 

1) 미국산 LNG 구매

  • 미국의 에너지 패권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일 1,300만 배럴에 달하는 석유 및 천연가스를 판매해야 하는데, 천연가스의 경우, 내수 소비가 부족하기 때문에 해외 수출이 필수

  • 에너지 수출은 곧 경제적으로 강력하게 연동되기 때문에 중국으로부터 의존도를 낮추는 효과 O

  • 트럼프(공화당)의 주요 지지층이 위치한 텍사스, 루이지애나의 주력 산업이 에너지 라는 점 고려시, 규제완화를 통해 생산량을 확대하고, 해외 수출을 통해 이익 극대화 전략이 필요

2) 미국산 농산물 구매

  • Corn belt, Grain belt 역시 공화당 지역으로 농산물 수출을 통해 수익 극대화 환경을 조성해줘야 하며, 이는 2년 후 예정된 중간선거에서의 우위 제공

  • 대두의 경우, 돼지 사료로 사용되는 바, 중국이 최대 수입국이기 때문에 중국향 수출이 관건

  • 옥수수의 경우, 사료로도 사용됨과 동시에, 바이오 에탄올의 일환으로

3) 리쇼어링

  • 미국 내 공장 준공을 통해 현지 일자리 창출

  • 중국 의존도 하향

4) 미 국채 매입

  • 트럼프 2기의 발목을 잡는 부분은 역사상 최고 수준의 이자비용

  • 따라서, 금리를 인하하여 이자비용을 완화하는 것이 임기 초반 핵심사안

  • 이를 위해선 국채 공급을 줄이거나 or 국채 수요를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

  • 5,000억불 규모의 '스타게이트' 등의 일련의 사건을 고려할 때, Capex를 줄이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기 때문에 관세를 대가로 국채 수요를 확보하는 것이 관건

  • 국채 수요를 확보하면, 시중 국채금리가 하락함에 따라 기준금리를 내리지 않고도 이자비용을 감소시키는 대체효과 발생


📌 Case Study: 1980년대 미국의 무역적자 해소를 위한 2가지 방안

배경: 1970년 닉슨 대통령의 금태환제 폐지 이후, 미국의 대일, 대독일 무역적자 폭 심화

이에 미 정부는 무역적자 해소를 위한 2가지 방안 실행


1) 대미 무역흑자국의 환율을 절상시켜 무역적자가 확대되는 것을 완화 (적자 폭 확대를 막는 것이지, 적자를 제로로 돌리는 것이 아님에 주의)

  • 1985.9. 플라자 합의를 통해 엔화 50% 절상 (당시, 최대 무역흑자국은 일본, 독일 순이었으며, 독일은 이를 거절하고 엔화보다 훨씬 더 낮은 폭으로 마크르화 절상)

  • 실제로, 대일 무역적자 폭이 대폭 개선되었지만, 워크맨, 반도체 등 일본의 IT제품이 워낙 독보적이었기 때문에 IT 부문에서는 여전히 적자

2) 양털깍기 = 대미 무역흑자국의 내수를 확장시키고, 미국산 제품의 수출을 증가시켜, 무역적자를 해소

(실질적으로 무역적자 폭을 개선하는 것으로 미국의 재정건전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침)

  • 1987.2. 루브르 합의를 통해 일본 내수를 키우고, 미국산 제품을 구매하는 방식으로 진행

  • 루브르 합의의 핵심은 일본이 금리를 인하시켜 내수를 확장하는 것

  • 실제로, 금리를 대폭 인하했으며, 부동산 버블을 초래하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

  • 미국의 대일본 무역수지 개선은 미국산 제품을 판매한 것도 있지만, 자본투자를 통해 부동산, 주가 등의 자본차익으로도 상당한 수익을 기록 - 이를 '경상수지' 라고 명명)


📌 투자 포인트 및 시사점: 

관세 자체는 협상용이지, 협박용이 아님.

따라서, 관세로 인해 과도하게 하락한 섹터들 중 매력적인 저평가 구간에 있는 기업들 위주로 리서치 필요

Ex. 베트남 관세 부과시, 나이키 등을 비롯한 미국 의류기업들의 주가가 평균 -10% 하락

But, 베트남 정상과의 통화 후, 합의에 도달한다면, -10%를 저렴하게 살 수 있는 구간에 진입

(*참고: 베트남은 세계 최대 의류 생산기지 중 하나로, 나이키를 비롯한 미국 패션 브랜드들의 상당 수가 베트남, 방글라데시에서 완제품 조달. 미국이 중국 신장 위구르의 의류 제품 수입을 금지하자, 중국 기업들이 베트남, 방글라데시로 생산기지를 대폭 옮겼고, 이것이 화근이 되는 중)


🧐관세 부과 이슈로 수혜를 받을 만한 섹터👍

  1. LNG 관련 밸류체인:

    1. 조선주: HD현대중공업, 한화오션, 삼성중공업

      1. 미국향 LNG 수출터미널 준공일정에 맞춰 LNGC 싹쓸이 예정

      2. 특히, 삼성중공업은 미 상무부의 Wison(중국 해양플랜트 제조사) 제조로 FLNG 독점 지위를 누리고 있는 바, 과거와 달리 OPM 최대 20% 달성 가능성 부각

    2. 피팅류: 태광, 성광벤드, 하이록코리아, 우양에이치씨

      1. 피팅류는 통상 해양플랜트 제조에 Q가 집중되는 양상을 보임

      2. 태광은 2차전지 사업도 영위하는 바, pure한 기업은 성광벤드

      3. 하이록코리아는 범용성 피팅을 납품 (고품질 피팅은 Parker사 등 해외 기업들이 과점)

      4. 우양에이치씨는 SPAC 소멸 합병으로 최근 상장 - 미국 LNG 노출도가 높음 (해상 뿐만 아니라 고마진 사업인 육상 플랜트에도 납품하기 때문에 product mix 개선 효과 극대화)

  2. 농산물 구매 관련 밸류체인:

    1. 조선주: 나무라조선, 미쓰이 E&S, Japan engine, 다이하츠 디젤,

      1. 농산물 생산 및 판매 기업보다는 파나막스급 벌커선 제조사에 주목.

      2. 감자, 옥수수, 대두박 등은 보관이 까다롭고 부패가 쉽기 때문에 당해에 수출해야 하는 특성 보유.

      3. 미국 곡창지대는 중부, 남부에 위치해있기 때문에 파나마 운하를 반드시 통과해야 함

      4. 파나막스급 벌커는 일본, 중국만 제조 중

  3. 리쇼어링 수혜주:

    1. FT RBA American Industrial Renaissance ETF (AIRR)



*본 게시물은 특정 금융 상품에 대한 투자 권유나 추천이 아닙니다. 제공되는 모든 정보는 단순 취준생들의 학습을 위한 참고용이며, 투자에 대한 최종 결정과 책임은 전적으로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Comentário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