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 산운용 현직자와 함께 하는 해외 반도체 A to Z
회계, 재무 기초 개념부터 밸류에이션까지
완벽히 마스터하는 종합 모델링 코스!
한눈에 보는 강의 구성
강의 시간, 콘텐츠, 학습 자료까지 한 번에 확인하세요!
212+
누적 수강생
17+
Hours
3권
파커바 실전편
112+
Videos

프로젝트 개요
증권사 리서치센터, 자산운용사, 사모펀드 등 인턴, 신입으로 입사 후, 수행하게 될 모델링을 사전에 경험하여 금융권 취업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 강의 수강
거시경제, 회계, 재무, Valuation, 모델링 등
112가지 강의 수강
112개 이상의 콘텐츠 학습을 통해
인턴, 신입에게 요구하는 역량 완벽 숙지
실무과정 경험
강의 수강 후, 모델링 실습
데이터 수집 방법부터 단축키, 모델 제작, 목표주가 도출
모델링 추정 과정에서 핵심이 되는
KPI 파악 후, 매출, 비용 세부 추정
서류와 면접준비
수료증 & 모델링 실습내용
이력서 기재 , 면접 단골질문 학습
작성한 포트폴리오를 이력서와 함께 지원
면접 단골질문 Template을 통해 면접대비
이런 분들께 추천드려요!
1
금융권 취준생 및 재직자
금융권 취업 희망하는 취준생 or
모델링 기초를 제대로 배우고 싶은
1~3년차 금융권 재직자
2
모델링 포트폴리오가 필요하신 분
단기간 내 수준 높은 모델링을 거친
리서치 보고서를 기반으로 서류,
면접에서 즉시 활용하고 싶은 분
3
금융권 이직을 희망하시는 분
금융권으로 성공적인 이직을 원하는
비금융권 직장인
(백오피스, 산업군 -> 프론트로 이직)
어떤 내용들을 배우나요?
반도체 산업 핵심 실무지식 습득
✅ 반도체 제품별 종류 및 특성 - 메모리, 비메모리 / IDM, Fabless, Foundry
✅ 반도체 시장규모 세분화 (메모리, 비메모리 구분)
✅ 반도체 밸류체인 및 제품별 특성 학습 (CPU, GPU, AP etc)
✅ 반도체 수요를 견인한 제품의 역사 (feat. PC, 스마트폰, 데이터센터, AI etc)
✅ 엔비디아의 GPU 점유율이 80% 이상을 유지하는 원동력은? (feat. CUDA SW)
✅ 데이터센터에 빅테크들이 투자하는 이유는? (feat. AWS 영업이익률의 비밀)
✅ 역대 초호황기인 2018년에는 무엇이 반도체 수요를 견인했나? (feat. 트럼프의 감세정책과 빅테크의 비용처리)
✅ 대만에 지진이 발생했는데, 마이크론 주가만 하락한 이유는? (feat. 마이크론의 성장배경 - M&A 역사)
✅ AI 칩 수요 증가의 배경은?
엑셀 실무역량 육성
✅ 면접 단골질문: 해외주식 중 반도체 기업을 분석해야 하는 이유에 대한 모범답변
✅ 익숙치 않은 Edgar(미국 공시사이트)에서 자료를 취합하는 방법과 GAAP 적용시, 주의할 점
✅ GAAP 회계처리 방식에 입각하여, 주요 계정을 Adjusted 환산하는 핵심 노하우 설명
✅ ASIC 반도체의 핵심 기업인 Mavell과의 비교분석을 통한 시장규모(TAM) 도출 로직 상세설명
✅ 구독형 모델의 장단점과 실제, 반도체 산업에서 이뤄지는 구독형 모델의 단점 분석 후, 모델링에 반영
✅ AI 데이터센터 시장규모를 추정하고, HBM 시장과 연동시키는 방법은?
✅ DRAM, NAND 가격을 추정할 때, 경쟁강도를 통해 Bear, Normal, Best - 3가지 시나리오로 분석하는 방법 학습
✅ Historical PBR, Forward PBR - 총 2가지 방식을 사용한 목표주가 도출방법과 적정 멀티플 구하는 노하우
✅ DCF Valuation이 진행되기 때문에 실무에서 진행되는 생생한 핵심 노하우 학습
(feat. relevered, levered beta의 차이점, 적정 WACC 수치의 기준과 근거 etc)
타 강의와 차별점은?
(온라인 전용) 모델링 강의는 형식적인 모델링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섹터의 핵심을 관통하는 실무를 학습하는 강의입니다. 유료자료가 제한된 상황에서 어떤 식으로 대용치를 설정하여 모델링을 완성해 나갈 수 있는지에 주안점을 두고 있습니다.
1
진짜 실무 중심 강의
유튜브에서 무료로 학습 가능한 이론 위주의 강의가 아닌
현직에서 즉시 사용 가능한 실무 중심의 강의
2
자료 수집부터 모델링 추정까지 한번에
사업보고서(dart), IR 뿐만 아니라, 협회 등 다양한 리서치 사이트 소개, 어떻게 자료를 복붙하고, 정리하는지까지 상세 설명
3
현직 수준의 실무 가정 상세 설명
매출, 비용 추정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주요 가정치에
Average 값 같은 형식적인 방법이 아니라, DRAM, NAND, HBM 3가지 제품으로 구분한 이후, 반도체 사이클을 고려하여 DRAM, NAND 가격 추정 논리 상세 추정
4
자신만의 관점으로 직접 시장규모 도출
각 기관마다 상이한 정보에 맹목적으로 휘둘리지 않고, 직접
시장규모를 도출하는 노하우 설명
(ex. HBM 시장규모에 대한 전망이 제각각인데, 나만의
방식으로 시장규모를 어떻게 도출할 수 있을까?)
셀프 트레이닝 강의 세부내역
▶️ 1강_주식 밸류에이션 절차 - 07:43
▶️ 1강_주식 밸류에이션 절차 - 07:43
▶️ 2강_재무제표 개괄 - 07:18
▶️ 3강_재무상태표 분석 - 17:19
▶️ 4강_손익계산서 분석 - 04:33
▶️ 5강_현금흐름표분석 - 01:17
▶️ 6강_재무제표 역학관계 - 07:04
📝 회계, 재무 Quiz - 10 questions▶️ 1강_매크로지표 분석 - 16:58
▶️ 2강_금리 - 09:03
▶️ 3강_물가 - 07:59
▶️ 4강_유가 - 07:57
▶️ 5강_환율 실전 다지기 - 61:11
📝 거시경제 Quiz - 10 questions▶️ 1강_주식에 대한 사고 - 10:33
▶️ 2강_주식 기초 다지기 - 54:29
▶️ 3강_재무제표의 이해 - 10:53
▶️ 4강_실제사례 분석 - 09:42
▶️ 5강_기업분석 베이직 - 07:48
▶️ 6강_공급측면분석_삼성엔지니어링 - 15:27
▶️ 7강_수요측면분석_한전기술 - 17:27
▶️ 8강_종목선정 방법론 - 45:21▶️ 1강_주식가치평가방법 - 02:50
▶️ 2강_상대가치평가방법 - 02:49
▶️ 3강_PER - 09:05
▶️ 4강_PBR - 04:19
▶️ 5강_EV/EBITDA - 04:38
▶️ 6강_PSR - 03:12
▶️ 7강_절대가치평가방법 - 06:39
▶️ 8강_DCF 모델 - 17:46
▶️ 9강_RIM 모델 - 02:35
▶️ 10강_Valuation 실전감각 키우기 - 26:04
📝 밸류에이션 Quiz - 10 questions▶️ 1강_핵심용어_반도체분류 - 11:02
▶️ 2강_반도체 제조공정 - 06:28
▶️ 3강_반도체 실무지식 - 47:04
▶️ 4강_브로드컴 실무지식 - 09:28
▶️ 5강_브로드컴 모델링 추정에 필요한 제반지식들 - 08:37
📝 반도체 Quiz - 10 questions
▶️ 1강_Excel Formatting - 46:37
▶️ 2강_Raw data 수집 + Historical data 연결하기 - 20:29▶️ 3강_Product 매출 추정 - 24:28
▶️ 4강_인프라 서비스 매출 추정 - 16:20
▶️ 5강_비용(매출원가, 판관비) 추정 - 10:20
▶️ 6강_EPS까지 손익계산서 추정 완료 - 08:25
▶️ 7강_잉여현금흐름(FCF) 도출 - 12:00
▶️ 8강_DCF part 1 - 17:57
▶️ 9강_DCF part 2 - 10:08
▶️ 10강 Conclusion - 05:54
▶️ 1강 1부_금융시장의 이해 및 투자에 대한 편견 - 25:22
▶️ 1강 2부_Quant의 이해 - 25:52
▶️ 2강 1부_Factor Model의 기본이해 - 20:55
▶️ 2강 2부_Three Factor Model, EMH, Momentum의 이해 - 18:59
▶️ 2강 3부_Low Volatility, Quality - 21:27
▶️ 3강_Factor Model의 활용 - 27:46
▶️ 4강 1부_Fund와 ETF의 기초 이해 - 41:59
▶️ 4강 2부_스마트베타 ETF의 이해 - 11:04
▶️ 실습 1강_타이밍 - 09:43
▶️ 실습 2강_모멘텀 팩터 백테스트 - 32:09
▶️ 실습 3강_엑셀(인덱스, 매치)함수 숙지하기 - 06:00▶️ 1강_자본의 이해-채권과 주식의 비교 - 04:02
▶️ 2강_자본의 이해 주식의 분류ㅣ보통주와 우선주 - 03:06
▶️ 3강_자본의 이해 자본거래ㅣ유상증자, 무상증자, 무상감자, 자기주식 취득 및 처분 - 03:00
▶️ 4강_자본의 이해 배당의 종류와 효과 - 03:37
▶️ 5강_주식시장 발행시장ㅣIPO - 03:32
▶️ 6강_주식시장 유통시장(secondary market)ㅣkospi,_kosdaq - 02:34
▶️ 7강_주식시장 주식가격 분석방법 - 02:45
▶️ 8강_기업가치평가 가치평가이론의 기초개념 - 07:38
▶️ 9강_기업가치평가 수익접근법 개괄 - 02:46
▶️ 10강_기업가치평가 수익접근법(1) dcf 방법 - 05:33
▶️ 11강_기업가치평가 수익접근법(2) rim 방법 - 02:58
▶️ 12강_기업가치평가 수익접근법(3) apv 방법 - 02:18
▶️ 13강_기업가치평가 수익접근법ㅣ할인율의 결정 - 02:40
▶️ 14강_기업가치평가 수익접근법ㅣ위험의 측정ㅣbeta - 02:38
▶️ 15강_기업가치평가 수익접근법ㅣ할인율의_결정ㅣWACC - 02:32
▶️ 16강_기업가치평가 수익접근법ㅣ영구가치의 산정 - 02:18
▶️ 17강_기업가치평가 수익접근법ㅣ최종 주식가격의 산출 - 02:06
▶️ 18강_기업가치평가 시장접근법 개괄 - 01:36
▶️ 19강_기업가치평가 시장접근법(1) per비교법 - 02:27
▶️ 20강_기업가치평가 시장접근법(2) pbr비교법 - 02:30
▶️ 21강_기업가치평가 시장접근법(3) EV/EBITDA 비교법 - 02:21
▶️ 22강_다양한 기업가치평가 방법의 특성을 설명하시오 - 02:17
▶️ 23강_수익접근법과 시장접근법과 대해 설명해 보아라 - 00:48
▶️ 24강_총 투자수익률 계산 - 01:06
▶️ 25강_주식의 공매도에 대해 설명하시오 - 01:35
▶️ 26강_내부자거래가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 01:09
▶️ 27강_언제 회사는 자사주를 매입하는가 - 01:03
▶️ 28강_회사는 회사의 주가를 어떻게 상승시킬 수 있는가 - 01:26
▶️ 29강_기업을 분석함에 있어서 기본적분석과 기술적분석의 차이를 설명하시오 - 01:12
▶️ 30강_기업가치란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 01:13
▶️ 31강_총기업가치(EV)와 자기자본가치(EqV)의 차이는 무엇인가 - 01:00
▶️ 32강_순차입금은 무엇을 말하는가 - 01:58
▶️ 33강_기업가치평가방법 중에 이론적으로 가장 우수한 방법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 01:46
▶️ 34강_어떤 기업가치평가 방법을 사용할지 어떻게 선택할 것인가 - 01:45
▶️ 35강_4가지 가치평가방법 중 어떤 가치평가 방법론이 가장 높은 가치를 제시하는가 - 01:43
▶️ 36강_비상장기업의 가치평가는 어떻게 하는가 - 01:14
▶️ 37강_매출이 발생하지 않는 신생기업은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 01:18
▶️ 38강_APV(조정현가법)이 무엇인지 설명해보아라 - 01:05
▶️ 39강_가치평가방법 중 RIM 방법은 무엇을 말하는가 - 02:35
▶️ 40강_DCF 방법의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해보아라 - 01:39
▶️ 41강_DCF방법을 이용하여 기업가치를 평가할 때, 추정기간은 어느 정도인가 - 01:02
▶️ 42강_DCF방법 적용시, 기업의 영구가치(terminal value)는 어떻게 계산하나 - 01:19
▶️ 43강_FCFF 할인모형 방법에서 영업가치로부터 자기자본가치를 어떻게 도출하는가 - 00:48
▶️ 44강_FCFF가 의미하는 것은 무엇이고, 어떻게 계산하는가 - 01:32
▶️ 45강_영업이익이 아닌, 당기순이익, ebitda로부터 fcff을 계산할 수 있는가 - 01:37
▶️ 46강_순운전자본이란 무엇인가 - 01:57
▶️ 47강_순운전자본이 증가할시 기업잉여현금흐름은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 00:58
▶️ 48강_기업은 초과현금(excess_cash)으로 어떤 활동을 할 수 있는가 - 00:52
▶️ 49강_주식매수선택권이란 무엇이며, 기업의 가치평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01:50
▶️ 50강_가중평균자본비용(wacc)은 무엇이고 어떻게 계산하는가 - 02:21
▶️ 51강__WACC계산 시 자본구조를 현재 자본구조가 아닌 목표자본구조로 사용하는 이유는 - 01:27
▶️ 52강_가중평균자본비용(WACC) 계산 시 타인자본비용에 (1-t)를 곱하는 이유를 설명 - 01:09
▶️ 53강_가중평균자본비용 계산 시 자본구조의 시장가치를 이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00:58
▶️ 54강_베타란 무엇인가 - 02:12
▶️ 55강_음의 베타 값을 갖는 자산은 무엇인가 - 02:40
▶️ 56강_levered beta와 unlevered beta를 계산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02:05
▶️ 57강_상장회사의 unlevered beta는 어떻게 계산하는가 - 01:35
▶️ 58강_무위험수익률은 어디에서 찾을 수 있는가 - 01:07
▶️ 59강_시장위험프리미엄은 무엇인가 - 00:46
▶️ 60강_자기자본으로만 이루어진 회사의 할인율은 어떻게 계산할 것인가 - 00:44
▶️ 61강_What is EBITDA - 01:10
▶️ 62강_EV/Earnings, Price/EBITDA를 기업가치배수로 사용하지 않는 이유 - 00:56
▶️ 63강_어떤 회사의 PER이 17이다. 이것은 높다고 할 수 있는가 - 01:06
▶️ 64강_매출 1억원, 순이익 1천만원을 갖는 회사에 인수대금으로 얼마를 지불할 것인가 - 01:00
▶️ 65강_EBITDA와 PER의 차이는 - 01:06
▶️ 1강_DCM이 왜 필요하다고 생각하는가, ECM과 차이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 05:14
▶️ 2강 채권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 특징에 대해 설명하시오 - 03:53
▶️ 3강_기업은 어떤 경우에 주식 발행보다 채권 발행을 선호하나 - 04:16
▶️ 4강_채권(bond)과 대출(loan)의 차이는 무엇인가 - 02:09
▶️ 5강_수의상환채권(callable bond)이란 무엇인가 - 05:10
▶️ 6강_상환청구권부사채란 무엇인가 - 04:45
▶️ 7강_하이브리드 채권은 무엇이며, 어떤 것들이 있는가 - 05:12
▶️ 8강_전환사채가 무엇인지 자세히 설명해보아라 - 05:14
▶️ 9강_유로달러 채권이란 무엇인가 - 04:00
▶️ 10강_영구채란 무엇인가 - 03:24
▶️ 11강_만약 금리가 내려갈 것이라고 가정한다면, 채권을 사야하는가면 공매해야 되는가 - 03:11
▶️ 12강_원_유로환율이 급격히 상승, 채권투자비율을 어떻게 조정할 것인지 설명하시오 - 07:38
▶️ 13강_0.05퍼센트는 몇 베이시스 포인트 bp(basispoint)와 같은가 - 03:21
▶️ 14강_채권이 할인발행 될 때, 이자비용과 실제 현금유출액의 조정을 위해 사용되는 계정은 - 06:09
▶️ 15강_채권의 액면가란 무엇인가? - 02:22
▶️ 16강_채권의 가격은 어떻게 계산할 수 있는가 - 04:28
▶️ 17강_매년 1,000원을 이자로 지불하는 영구채의 가격은 어떻게 구하나 - 05:38
▶️ 18강_무이표채(zero coupon bond) 영구채의 가치는 - 02:27
▶️ 19강_같은 만기일과 이자율을 지닌 두 채권이 어떻게 다른 가격에 매매될 수 있을까 - 04:17
▶️ 20강_무엇이 국채의 가격을 오르게 하는가 - 10:00
▶️ 21강_곡물, 원유 등 상품의 물가가 오를 때, 채권의 가격은 어떻게 되는가 - 04:15
▶️ 22강_수익률 곡선이 무엇인가 - 04:48
▶️ 23강_시장(유효)이자율과 채권수익률의 관계는 어떠한가 - 05:47
▶️ 24강_만일 채권의 가격이 오른다면, 수익률은 어떻게 될까 - 03:11
▶️ 25강_채권의 만기 수익률이란 무엇인가 - 07:27
▶️ 26강_채권의 액면이자란 무엇인가 - 04:25
▶️ 27강_채권의 할인율(discount rate)은 어떻게 결정되는가 - 06:35
▶️ 28강_채권이 할증발행될 시 채권의 수익률과 액면이자율 중 어느 것이 높은가 - 04:24
▶️ 29강_현재의 채권수익률, 금리가 얼마인지 아는가 - 06:21
▶️ 30강_채무불이행위험이란 - 04:56
▶️ 31강_채권의 채무불이행 프리미엄은 무엇인가 - 04:23
▶️ 32강_채권등급평가란 - 05:01
▶️ 33강_투자등급채권과 정크본드의 차이는 무엇인가 - 05:06
▶️ 34강_기업의 신용등급(credit rating)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 06:31
▶️ 35강_채권을 발행하는 기업의 신용위험은 어떻게 측정하는가 - 05:42
▶️ 36강_기업이 파산하였을 경우 채권자의 우선권 순위는 - 05:11
▶️ 37강_만약 대통령이 탄핵 당했다면, 이자율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 05:07▶️ 1강_재무상태표 기본가정 - 04:02
▶️ 2강_K-IFRS의 특징 - 04:14
▶️ 3강_재무상태표의_개념과_구성요소 - 11:53
▶️ 4강_손익계산서의 개념과 구성요소 - 06:22
▶️ 5강_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의 관계 - 04:15
▶️ 6강_재무상태표와 현금흐름표의 관계 - 06:25
▶️ 7강_손익계산서와 현금흐름표의 관계 - 02:58
▶️ 8강_3가지 주요 재무제표들이 어떻게 연관되어있는가 - 04:14
▶️ 9강_3개의 재무제표 중 2가지만을 선택해야하는 상황이라면 - 01:47
▶️ 10강_주요 재무비율 - 04:38
▶️ 11강_자기자본순이익률 - 02:31
▶️ 12강_주가수익성장비율(PEG) - 02:19
▶️ 13강_감가상각비가 10억원 증가했을 시, 3개의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 02:37
▶️ 14강_만약 취득금액 150, 장부금액 50인 유형자산을 100에 처분 - 04:39
▶️ 15강_회사가 12월31일 설비투자를 위하여 10만원을 지출했다 - 02:48
▶️ 16강_앞의 문제에서 회사가 현금이 아닌 부채를 발행하여 장비를 구입했다고 했을 시 - 04:39
▶️ 17강_앞의 질문에 이어서, 3년째 1월1일자로 상각처리를 하려고 한다 - 01:25
▶️ 18강_자본적 지출을 늘렸을 때, 영향을 받는 재무제표는 어떻게 영향을 받는가 - 01:58
▶️ 19강_매출총이익률과 영업이익률, 순이익률은 어떻게 계산하는지 - 02:57
▶️ 20강_기본주당순이익과 희석주당순이익은 어떻게 계산하는가 - 03:07
▶️ 21강_회사가 자기주식을 취득한다고 할 때, 기본주당순이익은 어떻게 되는가 - 02:04
▶️ 22강_이자보상비율은 어떻게 계산하며, 재무레버리지가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 - 02:35
▶️ 23강_재고자산회전율과 재고자산회전기일에 대해 설명해보아라 - 02:29
▶️ 24강_포괄손익이 무엇인지 설명하고, 포괄손익의 대표적인 항목을 3가지만 서술해라 - 03:51
▶️ 25강_재고자산의 평가방법을 후입선출법에서 선입선출법으로 변경할 시, 재무제표 변화는 - 02:17
▶️ 26강_금융리스와 운용리스의 차이점은 - 02:42
▶️ 27강_이연법인세란 무엇인가, 이 항목들은 어떻게 발생하게 되는가 - 02:42▶️ 1강_DCM이 왜 필요하다고 생각하는가, ECM과 차이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 05:14
▶️ 2강 채권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 특징에 대해 설명하시오 - 03:53
▶️ 3강_기업은 어떤 경우에 주식 발행보다 채권 발행을 선호하나 - 04:16
▶️ 4강_채권(bond)과 대출(loan)의 차이는 무엇인가 - 02:09
▶️ 5강_수의상환채권(callable bond)이란 무엇인가 - 05:10
▶️ 6강_상환청구권부사채란 무엇인가 - 04:45
▶️ 7강_하이브리드 채권은 무엇이며, 어떤 것들이 있는가 - 05:12
▶️ 8강_전환사채가 무엇인지 자세히 설명해보아라 - 05:14
▶️ 9강_유로달러 채권이란 무엇인가 - 04:00
▶️ 10강_영구채란 무엇인가 - 03:24
▶️ 11강_만약 금리가 내려갈 것이라고 가정한다면, 채권을 사야하는가면 공매해야 되는가 - 03:11
▶️ 12강_원_유로환율이 급격히 상승, 채권투자비율을 어떻게 조정할 것인지 설명하시오 - 07:38
▶️ 13강_0.05퍼센트는 몇 베이시스 포인트 bp(basispoint)와 같은가 - 03:21
▶️ 14강_채권이 할인발행 될 때, 이자비용과 실제 현금유출액의 조정을 위해 사용되는 계정은 - 06:09
▶️ 15강_채권의 액면가란 무엇인가? - 02:22
▶️ 16강_채권의 가격은 어떻게 계산할 수 있는가 - 04:28
▶️ 17강_매년 1,000원을 이자로 지불하는 영구채의 가격은 어떻게 구하나 - 05:38
▶️ 18강_무이표채(zero coupon bond) 영구채의 가치는 - 02:27
▶️ 19강_같은 만기일과 이자율을 지닌 두 채권이 어떻게 다른 가격에 매매될 수 있을까 - 04:17
▶️ 20강_무엇이 국채의 가격을 오르게 하는가 - 10:00
▶️ 21강_곡물, 원유 등 상품의 물가가 오를 때, 채권의 가격은 어떻게 되는가 - 04:15
▶️ 22강_수익률 곡선이 무엇인가 - 04:48
▶️ 23강_시장(유효)이자율과 채권수익률의 관계는 어떠한가 - 05:47
▶️ 24강_만일 채권의 가격이 오른다면, 수익률은 어떻게 될까 - 03:11
▶️ 25강_채권의 만기 수익률이란 무엇인가 - 07:27
▶️ 26강_채권의 액면이자란 무엇인가 - 04:25
▶️ 27강_채권의 할인율(discount rate)은 어떻게 결정되는가 - 06:35
▶️ 28강_채권이 할증발행될 시 채권의 수익률과 액면이자율 중 어느 것이 높은가 - 04:24
▶️ 29강_현재의 채권수익률, 금리가 얼마인지 아는가 - 06:21
▶️ 30강_채무불이행위험이란 - 04:56
▶️ 31강_채권의 채무불이행 프리미엄은 무엇인가 - 04:23
▶️ 32강_채권등급평가란 - 05:01
▶️ 33강_투자등급채권과 정크본드의 차이는 무엇인가 - 05:06
▶️ 34강_기업의 신용등급(credit rating)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 06:31
▶️ 35강_채권을 발행하는 기업의 신용위험은 어떻게 측정하는가 - 05:42
▶️ 36강_기업이 파산하였을 경우 채권자의 우선권 순위는 - 05:11
▶️ 37강_만약 대통령이 탄핵 당했다면, 이자율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 05:07▶️ 1강_M&A를 하는 이유 - 01:36
▶️ 2강_M&A를 하지 않는 이유 - 00:56
▶️ 3강_시너지(Synergy) - 01:01
▶️ 4강_합병의 형태 - 01:18
▶️ 5강_M&A의 절차(M&A process) - 01:30
▶️ 6강_공개매수(Tender Offer) - 01:28
▶️ 7강_적대적 인수 방어전략 (takeover defenses) - 01:31
▶️ 8강_기업인수목적회사(SPAC) - 00:56
▶️ 9강_M&A 자금조달 방법 - 01:18
▶️ 10강_인수가격 결정(1) - 01:06
▶️ 11강_인수가격 결정(2) - 00:37
▶️ 12강_Merger 모델 - 01:16
▶️ 13강_주식스왑(Stock Swap) - 00:56
▶️ 14강_현금매수(Cash Offer) - 00:41
▶️ 15강_현금매수와 주식스왑의 비교 - 01:04
▶️ 16강_현금매수와 주식스왑 - 00:42
▶️ 17강_전략적 투자자와 재무적 투자자의 차이 - 01:03
▶️ 18강_전략적 투자자와 재무적 투자자의 비교 - 01:02
▶️ 19강_전략적 투자자와 차입매수펀드의 비교 - 00:47
▶️ 20강_차입매수(LBO) 개념 - 01:02
▶️ 21강_차입매수(LBO) 수익률 극대화 방법 - 01:04
▶️ 22강_차입매수(LBO) 매수대상 회사의 탐색 - 01:03
▶️ 23강_차입매수(LBO) 차입의 이유 - 01:17
▶️ 24강_차입매수(LBO) 차입금액 - 00:51
▶️ 25강_증가희석합병분석 - 01:14
▶️ 26강_희석합병의 요인 - 01:16
▶️ 27강_증가희석합병분석 - 00:50
▶️ 28강_증가합병과 희석합병의 차이 - 01:27
▶️ 29강_증가희석합병분석 - 01:00
▶️ 30강_합병 후의 재무상태표 - 01:16
▶️ 31강_매수법과 지분통합법의 차이 - 01:14
▶️ 32강_영업권(Goodwill)의 인식 - 01:35▶️ 1강_파생상품(derivatives)의 개념 - 04:15
▶️ 2강_선도와 선물의 차이 - 05:29
▶️ 3강_선도계약(forward contract) - 05:35
▶️ 4강_선물계약(futures contract) - 05:28
▶️ 5강_현물환율 - 03:39
▶️ 6강_선물환율(forward exchange rate) - 02:56
▶️ 7강_헷징(hedging) - 04:40
▶️ 8강_옵션의 정의와 특징 - 07:02
▶️ 9강_옵션의 개념과 종류 - 07:08
▶️ 10강_option greeks - 04:32
▶️ 11강_옵션의 왜도(option skewness) - 05:11
▶️ 12강_풋콜 패러티(put-call parity) - 06:27
▶️ 13강_변동성 지수(vix) - 03:58
▶️ 14강_증권화(securitization) - 03:14
▶️ 15강_부채담보부증권(CDO) - 05:39
▶️ 16강_신용부도스왑(CDS) - 03:36
▶️ 17강_CDO와 CDS의 차이 - 01:56
▶️ 18강_자산유동화증권(ABS) - 04:50
▶️ 19강_주택담보부증권(MBS) - 03:01
▶️ 20강_서브프라임모기지 사태 - 08:14
▶️ 21강_스왑(swap) - 04:12
▶️ 22강_주식워런트증권(ELW) - 02:58
▶️ 23강_Value at risk(VAR) - 04:11
▶️ 24강_블랙숄즈(black-scholes) 모델 - 07:15
▶️ 25강_black scholes model의 가정 - 05:38
▶️ 26강_black scholes model과 이항모형의 차이 - 05:32
▶️ 27강_회귀분석과 몬테카를로 모델 - 03:53
▶️ 28강_옵션의 가격결정 요인 - 05:37
▶️ 29강_옵션의 가치 - 02:53
▶️ 30강_옵션의 가치 대형주와 소형주 - 02:42
▶️ 31강_옵션의 가치 시간가치 - 02:07
▶️ 32강_옵션의 가치 이자율 - 02:38
▶️ 33강_옵션의 가치 moneyness - 02:23
▶️ 34강_원자재 - 03:50
▶️ 35강_부동산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04:35
▶️ 36강_부동산시장과 주식시장의 관계 - 02:53
▶️ 37강_부동산의 가치평가 - 04:37
▶️ 38강_부동산 정책 - 03:28▶️ 성공적인 면접을 위한 정장착용법 - 36:37
📒 실전편 1권
📒 실전편 2권
📒 실전편 3권
Sample Videos
반도체 섹터 실무지식 강의
브로드컴 모델링 강의
Sample Workbook





